王江英(2012), 王雅(2014)는 설문조사를 통해 속담 공부에 나타난 한국인 학습 자의 문제점을 근거 있게 고찰하였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객관적인 조사가 없 이 한국인 학습자들의 속담 사용 상황을 잘 분석하지 못한 것은 아쉽다。
논문 밖에도 중국 속담 연구에 관한 저작이 있다。 溫端政、周薦의『二十世紀的 漢語俗語硏究』11에서는 이론과 실천의 측면에서 헐후어(歇後語), 관용구(慣用語), 언어(諺語), 성어 등을 분석하였다。 溫端政의『俗語硏究與探索』12에서는 언어학의 측면에서 언어를 연구하고 정리하는 데에 있어서 역대 속담이 큰 가치가 있다는 것을 밝히고 예를 들어 연구 방법을 설명하였다。
1。1。3 한중 속담·관용구에 관한 비교 연구论文网
한국에서의 한중 속담·관용구에 관한 비교 연구에 관한 논문은 여섯 편인데 대
6 魏爽,『漢語俗談修辭探究』, 曲阜師範大學, 석사학위논문, 2009。
7 嚴窕菁,『從韓漢慣用語談到韓漢動物類慣用語的硏究及對外漢語中動物類慣用語的敎學策略』, 上海交
通大學, 석사학위논문, 2008。
8 王江英,『對外漢語敎學及敎材的俗談硏究』, 中國海洋大學, 석사학위논문, 2012。
9 黃翘楚,『對外漢語中高級階段俗談敎學硏究』, 華中師範大學, 석사학위논문, 2015。
10 王雅,『韓國漢語學習者熟語的語用失誤分析及敎學對策』, 辽寧大學, 석사학위논문, 2014。
11『二十世紀的漢語俗語硏究』:溫端政、周薦, 書海出版社, 2010。1
12『俗語硏究與探索』:溫端政, 上海辭書出版社, 2005,5。
표적인 논문은 백승덕13(2011)의『中韓諺語比較硏究』, 이정미14(2012)의『中韓俗
談比較硏究』, 이유진15(2013)의『漢韓動物詞象徵義對比硏究』, 박혜정16(2014)의
『中韓俗談比較硏究』, 김보나17(2014)의『韓中‘馬’的象徵意義對比硏究』 등이 있 다。
백승덕(2011), 이정미(2012), 박혜정(2014)은 한중의 모든 속담에 대해 비교 연구를 하였다。 이 몇 편의 논문을 보면 모두 한중 속담의 형식과 의미에 대해 분류하고 대비 연구한 공통점이 있다。 다른 점은 박혜정은 속담의 특성, 내용, 수 사법 등 여러 방면으로 연구를 하였고 이정미는 속담의 취재, 수사법에 대해 고 찰하였으며 백승덕은 음식에 관한 속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 보았다。 여러 방면으로 전면적인 연구를 한 것은 참고할 가치가 크다。 이유진(2013), 김보나 (2014)는 속담에 나온 동물들의 상징적 의미를 연구하였다。 김보나는 여러 면으 로 말에 대한 연구만 하였다。 그러나 이유진의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동물을 대 상으로 하였으므로 연구가 자세하지 못하다。文献综述
중국에서의 한중 속담·관용구에 관한 비교 연구에 관한 논문은 12 편인데 다음 과 같은 두 가지 주제로 나눌 수 있다。
陸欣18(1997), 계효하19(2012)는 한중의 속담에 대해 비교 연구를 하였다。 그 중 계효하는 수사법으로 한중 속담에 대해 대비 연구를 하였다。 그 밖에 陸欣 (1997), 林兵20(2011), 劉軍21(2012), 왕결22(2015)등의 논문도 동물과 관련된 한 중 속담을 형식과 의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왕결은 전면적으로 동형동의(同形同 意), 이형동의(異形同意), 이형이의(異形異意), 동형이의(同形異意) 등 4 개 부분으 로 분류하고 전면적인 비교 연구를 하였다。 그러나 陸欣, 林兵과 劉軍은 4 가지 분류 중의 3 가지 경우만 분석하였다。 朝鲜语论文鸟类相关的中韩俗语惯用语的意义比较研究(4):http://www.youerw.com/yingyu/lunwen_16388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