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연구 자료와방법
본 연구에서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과 『한중 속담관용어사전』, 『조선말 성구속담사전』에서 ‘마음’과 ‘가슴’이 들어간 관용구 총 122 개를 분석한다。 그중에서 ‘마음’이 들어간 관용구는 60 개이고 ‘가슴’이 들어간 관용구는 62 개이다。 먼저 ‘마음’과 ‘가슴’의 사전적인 의미에 의해서 관용구를 분류한다。 그리고 관용구에서의 ‘마음’과 ‘가슴’의 쓰임, 의미 등을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를 밝힌다。 분석과 연구들을 통하여 두
유의어의 차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1。3 선행 연구
1。3。1 관용구 관련 연구
관용구란 한 언어의 일반적인 표현법에 비하여 특별히 다른 구조나 의미를 지니는 단어나 구절이다。 넓은 의미로는 어느 한 언어가 다른 언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지니는 특징적인 모든 체계를 뜻한다。 관용구 · 관용어법 · 숙어 · 성어 · 익은말 · 익힘말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1。
한국에서 관용구에 대한 연구는 지난 세기 70 년대부터 시작했다。 1971 년부터 관용구에 대한 개념과 범위를 종합적으로 연구했다。 1976 년에 김문창학자는 관용구 정의의 범위를 확대했다。 그리고 "몸"과 관련된 관용구가 관심을 모았다。 1978 년에 황희영학자는 관용구가 이루어진 이유와 타입을 연구했다。
80 년대부터 관용구에 대한 연구가 더 깊어졌다。 특히 관용구의 의미와 사용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많이 했다。 1982 년에 이영희학자는 다의어와 관용구의 관계에 대해서 연구했다。 1986 년에 신재기학자는 화용론 입장에서 관용구를 분석했다。
90 년대부터 관용구에 대한 연구는 체계화되고 다각적인 시기에 들어갔다。 1990 년에 언어학에서 관용구가 다시 정의됐다。 1994 년에 장세경학자와 장경희학자는 감정 표현을 중심으로 연구했다。 표현 방식을 분석하고 본질적으로 관용구의 내용을 전달하고 관용구의 사용 효과를 연구했다。 1999 년에 홍사만학자는 ‘손, 눈, 머리 ‘와 관련된 관용구의 다의구조를 분석하고 연구했다。 2003 년에 김향서학자는 ‘기쁨, 슬픔, 분노, 두렴, 사랑, 미움’등 감정을 표현하는 관용구를 통해서 관용구의 특징을 연구하고 관용구가 감정을 표현할 때의 언어 특징을 정리했다2。
1。3。2 ‘마음’과 ‘가슴’ 관련 연구
‘마음’과 ‘가슴’은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이다。 저자가 수집한 자료에 의하면 ‘마음’ 관련 연구는 다음과 같다。
韩玉은 ⸢韩中和’마음/心’有关的惯用语的对比⸢에서 ‘마음’ 과 ‘心’에 관련된 관용어의 의미적 대비와 ‘마음’ 과 ‘心’에 관련된 관용어의 통사 구조적 대비를 진행했다。 그는 한국에서 ‘마음’과 관련된 관용구에는 다 주술 구조가 있고 관용구의 통사 구조 유형은文献综述 从惯用语中比较“마음”和“가슴”的区别(3):http://www.youerw.com/yingyu/lunwen_16435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