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표해록』의 기본 내용 2
2。2 『표해록』이 중﹒한문화에 미친 영향 2
3。 『표해록』 중의 옛 영파 4
3。1 명나라 시대 영파의 해안 방비 4
3。2 명나라 시대 영파의 건축물과 풍경——다리, 사당 등 5
3。2。1 광제교 5
3。2。2 송석장군묘 6
3。2。3 사명산 7
3。3 명나라 시대 영파의 경제 상황——국민의 생활수준 7
4。 영파와 조선(한)의 문화 연결 10
4。1 영파에 있는 조선(한)문화 유적지 10
4。1。1 최부의 기념비 10
4。1。2 고려사관 유적지 11
4。2 영파와 조선(한) 간의 다방면 문화교류 12
5。 결론 14
감사문 16
참고문헌 17
1。 서론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중﹒한 양국 간의 무역거래가 활발해짐에 따라 절강성 영파(寧 波)는 중국의 항구도시로서 여러 방면에 걸쳐 중﹒한 양국 간의 교류에 중요한 창구 역 할을 해왔다。 영파와 한국의 교류는 근현대에 들어와서 시작된 것이 아니라 이미 명나라 때부터 시작되어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으며, 그에 관련된 기록은 양국 모두에 전해지 고 있다。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는 문헌 가운데는 옛 영파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자료가 그리 많 지 않다。 조선 최부(崔溥)의 중국 견문기 『표해록(漂海錄)』에는 명나라 시대 영파의 사 회 상황이 아주 세밀하게 기록되고 있어, 당시 영파에 대한 역사적 연구와 영파﹒조선 (한) 간의 문화 교류를 연구함에 있어서 매우 귀중한 자료로 여겨지고 있다。来自优Q尔W论E文R网wWw.YouERw.com 加QQ75201.8766
지금까지의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대체로 부분적 또는 단편적으로 취급하거 나 연구되어 왔다。 예를 들면 왕여동(汪如東)의『조선인 최부 「표해록」의 언어학적 가치』
①와 당보수(唐保水)의 『「표해록」의 역사적 함의에 대한 분석』② 등은 모두 『표해록』 의 총체적인 내용만 다루었을 뿐, 특정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간혹 강남지역을 다룬 내용 중에는 소흥(紹興)③ ﹒항주(杭州) 등 지역이 언급돼 있기 는 하지만 영파 지역에 관한 논문은 여태 발견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표해록』에서 영 파와 관련된 흔적들을 세심히 살펴서 연구하면 명나라 시대 이 지역의 생활 특성과 전체 적인 사회경제적 상황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